728x90 반응형 역사문화탐방8 남산공원 유관순 열사 동상 ** 남산공원 유관순 열사 동상 안녕하세요. 즐거운 하루 되세요^^. 얼마 전 역사탐방의 일환으로 서울 중구에 있는 장충단 공원과 남산공원 일대를 둘러보았는데, 오늘은 유관순 열사 동상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유관순 열사는 일제강점기에 벌어진 3·1운동에 17세의 어린 나이로 참여한 독립운동가이다. 유관순 열사 동상은 애국선열 조상건립위원회(서울신문사)의 주관으로 1970년 태평로(남대문 뒤쪽)에 건립되었다가 1971년 이곳으로 이전하여 남산공원 장충자락에 있다. 정확한 위치는 서울특별시 중구 장충단로 101 남산공원 내이다. 유관순 열사는 충남 목천군 이동면 지령리에서 태어나 자랐다. 기록에 의하면 여자치고는 큰 키인 169cm에 다부진 체격이었다고 한다. 3.1운동 때 유관순은 이화학당 내 비밀결사 .. 2021. 6. 2. 장충단 공원 한국유림독립운동파리장서비 독립 청원 장충단 공원 한국유림독립운동파리장서비 독립 청원 기념 안녕하세요. 얼마 전 역사탐방의 일환으로 서울 중구에 있는 장충단 공원을 둘러보았는데, 오늘은 그중에서 한국유림독립운동파리장서비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한국유림독립운동파리장서비는 1919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세계평화회의에 유림 대표자 137인이 조선의 독립을 청원하는 서한(청원서)를 보낸 것을 기념하기 위해 한국유림독립운동파리장서협회에서 1973년 세운 것입니다. 위치는 서울특별시 중구 동호로 257-10(장충동2가 197)에 있다.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한국 유림은 한국의 독립을 호소하는 청원서를 파리강화회의에 제출하였다. 곽종석, 김복한을 비롯한 유림대표 137인이 서명과 함께 일제의 부당하고 잔혹한 한국 침략을 폭로하고 독립을 호소.. 2021. 5. 28. 장충단 공원 수표교 청계천 수위 측정 장충단 공원 수표교 청계천 수위 측정 안녕하세요. 얼마 전 역사탐방의 일환으로 서울 중구에 있는 장충단 공원을 둘러보았는데, 오늘은 그중에서 청계천의 물 수위를 측정하던 수표교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수표교는 세종 2년인 1420년 청계천을 가로질러 쌓아 만들어진 다리로서, 물을 건너는 다리 본연의 기능으로서 뿐만 아니라 수위를 측정하여 홍수를 대비하는 기능을 가진 중요한 다리였다. 위치는 서울 중구 장충동 2가 197-1에 있다. 서울 유형문화재 제18호로 지정되어 있다. 수표교가 만들어질 당시 그 일대는 소와 말을 사고파는 시장이 있었기 때문에 처음에는 마전교라 했다. 세종 23년인 1441년 홍수에 대비하기 위해 수표를 만들어서 다리 서쪽에 세웠고 이때부터 수표교라 불렸다. 영조 36년인 1760년.. 2021. 5. 27. 장충단 공원 탐방 * 장충단과 장충단비 장충단 공원 탐방 * 장충단과 장충단비 안녕하세요. 얼마 전 역사탐방의 일환으로 장충단 공원을 둘러보았는데, 오늘은 그중에서 장충단비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지하철 3호선 동대입구역에서 하차하여 장충단공원으로 들어가 둘러보았습니다. 장충단은 1895년(고종 32) 명성황후가 시해당한 을미사변 때 순직한 궁내부 대신 이경식, 훈련대장 홍계훈과 장병들의 충혼을 기리기 위해 1900년 11월에 세운 것이다. 그다음 해에는 임오군란·갑신정변 때 목숨을 잃은 충신들도 같이 모셨다. 장충단 일대는 조선 영조 때 도성 남쪽을 수비하던 남소영이 있던 자리이다. 장충(獎忠)은 충성을 장려한다는 뜻이다. 장충단비는 현재 장충단공원에 있는 석비로, 장충단을 지을 때 함께 세워졌다. 장춘단비는 서울특별시 중구 동호로 257-.. 2021. 5. 26. 서울 성북 여행 * 만해 한용운의 심우장 서울 성북 여행 * 만해 한용운의 심우장 안녕하세요. 지난 주 서울 성북구 성북동 일대를 둘러보았습니다. 오늘은 그중에서 만해 한용운 선생의 얼이 서려 있는 심우장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심우장은 독립운동가이자 시인 만해 한용운 선생이 건립하고 거주한 곳으로, 위치는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29길 24에 있다. 1985년 7월 5일 서울시지정문화재 기념물 제7호 지정되었고, 2019년 4월 8일 사적 제550호로 승격 지정되었다. 이 집은 3.1운동 때 민족대표 33인 중 한 분이자 ‘님의 침묵’의 시인인 만해 한용운이 1933년부터 1944년 입적할 때까지 살았던 곳이다. 동쪽으로 난 대문을 들어가면 북쪽으로 향한 기와집인 심우장과 관리소, 그리고 만해가 직접 심었다는 향나무 등이 있다. 한용운이 심우.. 2021. 5. 8. 용산 효창공원 탐방 * 임정 요인 묘역 용산 효창공원 탐방 * 임정 요인 묘역 안녕하세요. 즐거운 하루 되세요~~^^. 얼마 전 역사탐방의 일환으로 서울 용산구에 있는 효창공원을 둘러보았는데, 오늘은 그중에서 임정 요인 묘역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임정요인의 묘역은 이동녕, 차리석, 조성환 선생을 모신 곳으로 효창공원 정문으로 들어가 바로 오른쪽으로 돌아 조금 걸어가면 있다. 1948년 9월 김구 선생의 주선으로 중국 땅에서 순국하신 임시정부 의장 및 주석 이동녕 선생과 국무원 비서장 차리석 선생의 유해를 봉환하여 사회장으로 안장하였고, 같은 해 10월 군무부장을 역임하고 환국 후 서거하신 조성환 선생을 사회장으로 안장하였다. 1991년 11월 묘역 주변을 현재와 같이 조성하였다. 1. 이동녕 선생의 묘 이동녕(1869~1940) 선생은 충남.. 2021. 5. 8. 서울 종로 탐방 * 전통문화공간 무계원 서울 종로 탐방 * 전통문화공간 무계원 안녕하세요! 즐거운 하루 되세요~ 얼마 전서울 종로구 부암동 주민센터 족에 일이 있어 갔다가 근처에 있는 전통문화 공간 무계원을 둘러보았는데, 오늘은 무계원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무계원은 종로구 부암동에 개원한 도심 속 전통문화 공간으로,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의문로 5가길 2 (부암동 327)에 위치하고 있으며, 고즈넉한 풍광 속에서 한옥을 체험하고 전통과 문화를 통해 한국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는 특별한 공간이다. 무계원의 안채와 사랑채, 행랑채는 세미나, 강연, 회의실 등으로 사용 가능하며, 안채 마루, 안마당과 뒷마당 등 부대시설에서는 다양한 전통문화 행사도 진행된다고 한다. 무계원의 건물은 과거 종로구 익선동에 있었던 서울시 등록음식점 1호 오진암의 건물.. 2021. 5. 6. 서울 성북 여행 * 무소유 길상사 서울 성북 여행 * 무소유 길상사 안녕하세요. 지난 주 서울 성북구 성북동 일대를 둘러보았습니다. 오늘은 그중에서 도심 속 아름다운 사찰 길상사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길상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소속으로 도심 속에 자리 잡은 아름다운 사찰이다. 위치는 서울특별시 성북구 선잠로5길 68에 있다. 길상사(吉祥寺)의 절 이름은 ‘길하고 상서로운 절’이란 의미로 사찰의 창건주는 ‘무소유’로 잘 알려진 법정 스님이다. 길상사는 1980년대 말까지 삼청각, 청운각과 함께 최고급 요정 중 하나였던 대원각 자리에 세워졌다. 대원각의 주인이었던 故 김영한 여사(법명 : 길상화)가 법정 스님의 무소유를 접하시고 감동받아 대원각 대지 7천여 평 대지와 건물 40여 동의 부동산을 법정 스님에게 시주해 1997년에 길상사로 탈바꿈.. 2021. 5. 5.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